정리
- Aurora : MySQL. PostgerSQL를 AWS Cloud 환경에 맞게 최적화한 서비스 (여러번 복제함 -> 비쌈)
- Database서버를 클라우드에서 동작 시키고, 이용자는 Database를 사용하기만 함 -> PasS
- RDS의 경우 서브넷이 2개 필요하다.
- Database에 대한 root권한이 없음 (권한이 높은 사용자 권한만 주어짐)
- Database가 설치된 서버에 대한 통제권이 없음 (OS )
- 장점 : DB서버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됨 (DB관리(확장, 교체, 백업 등)를 AWS에 맡김)
- 단점 : DB는 로드밸런서를 사용 불가★★★(Master DB에서 쓰기를 수행하기 때문에 : 데이터 일관성) -> 대용량사용,
Slave DB는 Master DB에서 정보를 받고 사용자들이 읽기 요청을 할 때 처리해줌 -> AWS 사용으로 해결
실습
RDS에 주소를 부여하기 위해서 VPC의 호스트 이름 사용 활성화를 해야함


RDS생성



EC2에 연결할 경우 퍼블릿은 불가능해짐 -> 무조건 EC2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 -> 3Tier

그 후 WorkBanch로 접속해보기 -> goods데이터 넣어보기

'SK Rookies 9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AM (0) | 2022.09.29 |
---|---|
3Tier & aws EC2 - RDS 연계 (0) | 2022.09.28 |
Database Server 원격 접속 (0) | 2022.09.28 |
윈도우 RDP(원격 데스크탑) 연결 (0) | 2022.09.28 |
아마존 리눅스 - Gnuboard (0) | 2022.09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