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orage
-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, 비교적 저렴하다.
- 데이터를 Bucket 단위로 관리할 수 있음
- 나 혼자만 보려는 파일 -> Private 설정
- 모두에게 공개하려는 파일 -> Public 설정
- 특정 권한이 있는 사람에게만 공유하려는 파일 -> ACL를 적용 ( ex) 넷플이 과금한 사람만 영상을 보여줌)
- 정적 웹사이트 : index.html과 이미지를 업로드해서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음
- 비상시 : 공사중 페이지, 메인페이지가 다운되었을 때 "현재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."라는 사이트를 띄울 수 있다.(DNS 장애기반 라우팅)
- 일시적 공지를 위한 페이지 : 안내페이지, 이벤트 등 공지
aws S3
S3 Class
- 기본적으로 S3에 저장하면 3개 이상의 Zone에 분산해서 저장
- Standard : 저장 비용이 비싸지만 언제든지 인출할 수 있고, 인출 비용은 없음 0.025
- Standart-IA (Infrequent Access : 덜자주 접속) : 저장비용이 약간 저렴하지만, 약간의 인출 비용이 있음 0.0138
- One Zone-IA : 하나의 Zone에만 저장하는 대신 비용이 좀 더 저렴함 0.011
- Glacier : 오랫동안 보관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(저장 비용은 저렴함), 인출 시간이 오래걸리고 인출 비용도 높음 버전별 0.005, 0.0045, 0.002
Data 수명주기 관리 : 스케줄링
- 일반적인 데이터의 특징 : 처음에는 자주 사용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잘 사용하지 않음
- 한달동안 Standard에 저장했다가 그 이후에는 Glacier에 저장하여 효율성을 올린다.
- S3 Intelligent Tiering(Tier !== Class) : 위의 방법을 자동으로 해주는 것
- 자주 사용할 때는 Frequent Access Tier 0.021상태로 했다가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Infrequent Access Tier 0.0125 로 자동으로 옮겨준다.
-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면 Archive Access Tier 0.004로 이동
Bucket 만드는 과정
파일 업로드시
모든 사람이 이용하거나, 사람들에게 공유할 경우 업로드시 아래 사진처럼 설정을 할 수 있다.
'SK Rookies 9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RDP(원격 데스크탑) 연결 (0) | 2022.09.28 |
---|---|
아마존 리눅스 - Gnuboard (0) | 2022.09.27 |
사설 네트워크 구성(VPC,EC2..) (0) | 2022.09.27 |
Ubuntu 22.04 및 Gnuboard 설치와 SSH를 활용한 원격 접속 (0) | 2022.09.26 |
Cloud란 (0) | 2022.09.26 |